★★★생각하는 인문학(이지성)
2016년 11월 14일 이지성 작가를 초청하여 인문학 강연을 하기 위해서 사전에 읽었던 책.
<리딩으로 리드하라>로 알게 되어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작가로,
당시 정리를 해놨던 페이퍼가 있어 기록차 남겨놓는다.
지금 다시 흝어보니 <리딩으로 리드하라>와 컨셉이 크게 다르지 않은 듯.
최근 이지성 작가의 칼 비테 교육관련 서적과 이지성TV를 자주 접하게 되는데
유용한 정보를 많이 접할 수 있어 도움이 된다.
작가의 생각을 전부 동의하진 않지만
나의 독서습관에 영향을 미친 작가는 점에서 관심을 꾸준히 갖는 분이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에 대한 책을 조만간 출판한다고 하는데 좋은 책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1장. 당신은 생각'하는 것' 아니라 생각'당하고' 있다.
# 신자유주의 경제시스템 : 인문고전 독서를 통해 단련된 경제학자에 의해 탄생 → 검은 인문학 "$"
- 국부론의 오용, 잘못된 인문고전 오용에서 비롯된 결과
# 재벌가의 인문학 관심과 교육 : 기업이익에 눈이 먼 근시안적 접근
# 수학과 과학의 근원 → 철학 →"why"의 끊임없는 질문에서 도출하는 과정, 방법 습득
예) 수학의 노벨상 '필즈상' 수상자가 많은 나라 : 1위 미국, 2위 프랑스....
천재 수학자 배출 나라 : 1위 프랑스, 2위 독일...
→ '프랑스'가 손꼽히는 이유는 철학적 교육에서 비롯
2장. 새로운 '생각'엔 새로운 '지식'이 필요하다.
# 윌스트리트 투자자와 퀸트의 공통점 (※퀸트 : 아이비리그, 스탠퍼드, MIT 출신)
윌스트리트 투자자 | 금융전문가 O | 수학자, 과학자 X | 인문학에 조예가 깊음 |
퀸트 | 금융전문가 X | 수학자, 과학자 O | 인문학에 조예가 깊음 |
# '생각없이 사는 삶'의 비극적 결말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1) 학교 교육의 변화
2) 자기 교육 : 인문고전 독서, 필사, 토론, 수학, 과학 공부
가) 수학자. 과학자 연표 작성
나) 수학자. 과학자별 인문학 공부지도 작성
다) 수학자. 과학자별 대표 저작 독파
# 인문학의 기반위에서 수학과 과학을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철학적 사고방식과 수학.과학적 능력을 무기삼아 금융 노예의 삶에서 벗어나야 한다.
*자기 교육
가) 신경회로 구축 : 잘못된 교육방법 인지 - 뇌 관련 서적 독서
나) 새로운 생각시스템 구축 : 천재 위인들의 교육방법 숙지
다) 천재들의 생각시스템에 생각 회로 접속 : 고전 독서
라) 진정한 의미의 자기교육 시작
# 인문학의 본질인 '생각'은 인문학의 목적인 '행복'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
# 만일 당신이 특별한 존재가 되고 싶다면, 스스로에게 특별해 질 기회를 주어야 한다.
# 자연과 자주 만나라 → 영감 → 위대함의 시작 ; 자신의 내면에 충실하게 되는 것, 진리를 따른 삶
3장. 입지, 강력한 이유는 강력한 행동을 낳는다.
# 인문학 천재의 두뇌 속 시간은 *91만 2,500배 느리게 흐른다 : 인간은 하루에 약 6만번의 *생각
*(2,500년*365일) => 생각의 질량을 높임, 두뇌 속 시간을 느리게 => 상대성 이론 적용
*95% 반복, 창조적 생각X
# 생각을 뜻하는 한자에 '思'는 정수리 '신 田'과 마음 '心'이 합해진 것이다.
즉 생각은 머리와 마음으로 하는 것이다.
# 포토그래픽 메모리능력을 갖추려면 무엇보다 자신의 지능을 무한히 믿을 수 있어야 합니다.
# 책은 현실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읽는 것이었습니다.
# 근사록(주희,여조겸) : 먼저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 해내라. 그리고 힘이 남으면 인문학을 하라.
자신이 해야할 일을 다하지 않고 인문학을 한다면 그것은 옳지 않다.
# 플라톤의 대화편 :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
니체 '플라토이전의 철학자들' → 러셀 '서양의 지혜','서양철학사'
=> 통독 → 정독 → 정독 →필사 ...
# 제가 생각하는 인문학의 핵심은 결국 인간을 향한 사람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 '논어' 먼저 경제적으로 부유하게 해 준 다음에 인문학을 가르쳐라 : 선부후교(先富後敎)
# '열하일기'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외친 '경제적으로 넉넉하게 만들어 준 뒤 인문학을 하게 하라'
: 이용후생정덕(利用厚生正德)
제4장. 물음, 얻으려면 구하라.
# Think → IBM(토마스 J.왓슨) → Think Week(마이크로소프트사, 빌 게이츠) → Think different(애플, 스티브잡스)
# Think : 생각 → 라틴어(cogito) 코기토, 그리스어 도케오
* 코기토
-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활동 시기 플라톤 아카데미아에 뿌리를 둔 아카데미학파 득세(회의주의)
→ 인간은 불완전학 존재이기에 완전한 것, 즉 진리를 알 수 없다고 주장
- 아우구스티누스는 회의주의의 위험성 주장 : 시 팔로르 에르고 숨(Si fallor ergo sum)
- 만일 내가 속고 있더라도, 나는 존재한다. → 내가 속고 있다는 그 자체가 내가 존재한다는 증거
("나"의 존재 증명) → 노에시스 즉 코기토, 철학적 사고 → 중세유럽, 문명의 근원
# 데카르트 : 모든 것에 대한 의심 → But 그 모든 것이 거짓 일 수 있다고 의심하는 나의 존재,
생각하는 '나'의 존재는 절대 의심할 수 없음. (Cogito ergo sum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데카르트 Cogito
- (영) 로크, 합리주의(경험론 체계화) → 산업혁명, 계몽사상
(프랑스 인권선언, 미국 독립선언서, 권리장전, 헌법에 영향)
- (독) 칸드, 관념론 → 마르크스주의 → 미국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 영향
=> 데카르트의 개인주의가 없었다면 민주주의도 없었을 것이다.(리처드 왓슨)
# Think : 새로운 인류 문명을 설계하고 창조, 인공지능, 컴퓨터는 과학, 공학, 기술이기 이전에 인문학이다.
* 라이프니츠의 인문학 독서법 소개 : 각 분야의 대표 고전 엄선 후 원전을 반복 독서, 필사
※ 책의 내용과 저저의 생각 시스템이 내 것이 되는 마법같은 순간, 두뇌에서 지혜의 문이 열리고
가슴에 깨달음의 빛이 비치는 활홀한 순간, 그렇게 인류 지식과 지혜의 정점이 성큼 다가옴을
저자는 언급
제5장. 생각, '그'의 생각이 아닌 '나'의 생각을 하라.
# 잡스 : 인문학 - 하이데거의 철학
(이 세계의 모든 것은 인간에게 도구임. 도구는 평소 인간이 의식하지 못한 채 쓰지만 사용불능 상태가 되면
비로소 인간은 이를 인식 <존재와 시간>)
=>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결함
#토마스J.왓슨의 Think
1) Read 2) Listen 3) Discuss 4) Observe 5) Think
# 레오나르도 다빈치 인문학 공부법 : 빌게이츠 *Think Week의 뿌리
* 철저한 준비, 완벽하게 홀로 있어라, 인문고전 저자의 눈높이에서 읽고, 생각하라
1) 자기 암시를 하라 2) 원전을 읽어라 3) 원전을 필사하라 4) 홀로 사색하라
5) 잠들기 전 사색하라 6) 인문학 공부노트를 써라 7) 작가와 함께 하라 8) 도서관을 사랑하라
9) 인문학 서재를 만들어라 10) 인문 고전을 극복하라 11) 자주 휴식하라
# 아인슈타인 인문학 공부법 : 스티븐잡스 Think Different
1) 이미지로 생각하라 2) 클래식 음악을 사랑하라 3) 도서관을 사랑하라 4) 작가처럼 생각하라
5) 자기 머리로 생각하라 6) 생각을 글로 표현하라 7) 생각을 실천하라 8) 토론하라
9) 청강을 완성하라 10) 겸손하라
제6장. 실천, 5000년 역사를 만든 동서양 천재들의 사색공부법
1. 입지하라
- 율곡 '격몽요결' 인문학을 시작하는 사람은 무엇보다 먼저 입지해야 한다.
2. 거경궁리 (居敬窮理)
- 사람과 사물을 지극히 공손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대하는 상태인 경에 거하며 사색하라.
- 거경궁리 : 정좌(고요하고 바르게 앉아 있는 것), 구방심(놓아버린 마음을 찾는 것),
※ 정제엄숙, 주일무적, 상성심, 기심수렴불용일물
3. 격물치지 :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완전한 앎에 이른다는 의미
가. 글자 이치를 파고든다
나. 역사고전 독서(전체적 관점)
다. 실제 우주와 사람과 만물의 이치 고찰
※ 대학 : 격물치지를 한 사람만이 입지를 진실하게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하는 성의정심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고,
성의점심을 이룬 사람만이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이룬다.
4. 사색하라
5. 원어로 읽어라
6. 인문고전의 반열에 오른 해설서로 사색하라
7. 순정을 바치듯 한 권의 인문고전에 평생 몰두하라
8. 인문고전의 목차를 사색지로도 그려라
9. 연표를 통해 균형잡힌 시각을 길러라
10. 그랜드투어를 하라 ; 서번트투어 - 낮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을 섬기는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