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어느 한 신문에 이 책을 읽고 인생에 있어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작은 기사를 읽게 되었다.
철학적인 도서에 전혀 관심이 없던 나였지만 왜인지 '꼭 읽어야지'라는 하는 또다른 나을 보게(?)되었다.
그리고 두꺼운 분량임에도 불구하고 가볍게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니체에 대해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니체는 어느 정도(?)의 교양을 요구하며 책을 써 내려간다.
더욱이 니체는 이 책을 읽으라고 쓴 책이 아니라 외우라고 쓴 책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니체는 아포리즘을 사용한다.
이것도 모자라 관점의 이용이 상당히 자주 일어나 읽는 독자로 하여금 긴장을 풀지 못하게 하는 전략아닌 전략으로 집중력을 발휘케한다.
그나마 다행히도 (짜라두짜 자신이기도 하고 니체이기도 한) 짜라두짜의 수련 후의 과정을 서술(?)하고 있어 짜라두짜만 잘 따라가면 그의 지혜를 읽어내려갈 순 있겠다.^^;
이 책에선 많은 부분들이 상징적이다.
(이 책은 리드미컬한 내용의 책이기에 더더욱 그러할 수도 있겠다. 그래서 옮긴 이 역시 리듬을 맞추기 위해 차라투스트라라는 이름 대신 독일식 발음인 짜라두짜라고 번역한 것이니까)
그리고 비판적이고 자기 심리적인 부분도 여러 군데에서 볼 수 있다.
때문에 니체라는 인물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이 책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고뇌를 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철저한 개인주의자였던 그는 '신은 죽었다'고 당당히 외친다.
당시 시대적인 배경을 뒤로 하더라도 상당히 비판적이다.
또한 시대, 조국, 문화, 계급을 넘어선 진실을 추구할 때만 인간이 인간일 수 있다고 보았다.
(책 표지의 내용 중)
즉 그는 초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용 곳곳에 이러한 내용들이 그의 문체로 철저히 무장되어져있다.
지헤를 나눠 주고 싶은 맘에 세상 속으로 내려온 짜라두짜가 세상사람들로부터 외면받는 장면부터 제자들에게 이야기하는 모습 그리고 다시금 혼자 방랑하며 수련하는 과정과 자기 자신을 과감하게 분석해 써내려간 부분까지 전부 다...나는 아직 이 책의 내용을 전부 이해하지 못했다.ㅠㅠ
아니 어쩌면 이해할 수가 없을지도 모르겠다.
'모든 이를 위한 책, 그러나 아무도 이해하지 않은 책'이란 부제를 보면 내가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란 희미한 희망을 가져보지만 이를 이해하긴엔 니체에 대한 혹은 철학적 마인드에 대한 지적 능력이 너무나도 부족하다.
그래서 오히려 니체는 이 책을 읽지 말고 외우라고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동안 읽었던 책 중엔 그래도 가장 맘에 와닿는 구절이 많았던 책이었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구절을 소개하고자 한다.
물론 전체적인 틀 속에서 해석(?)되어져야 하지만 그 구절 자체만으로도 생각의 시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래. 우리는 삶을 사랑하지.
하지만 삶에 익숙하기 때문에 삶을 사랑하는게 아니야.
사랑에 익숙하기 때문에 삶을 사랑하는거지.]
7.읽기와 쓰기 중에..
[그리고 자네들 모두!
끝없이 일하는 것을 소중히 여기고
빨리 변하는 것, 새로운 것, 기이한 것을 찾고 있는 자네들!
자네들 역시 자기 자신을 억지로 견디고 있는 것 아니야?
열심히 사는 것은 삶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한 것,
자네 자신을 잊기 위한 것이 아니야?]
9.죽음을 설교하는 사람 중에..
[깊은 우물의 반응은 천천히 나오지.
깊은 우물은 자신의 바닥으로 무엇이 떨어졌는지 알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거든.]
12. 시장의 파리 중에..
[인생이 견디기 힘들긴, 개뿔! 사람이 견디기 힘든거지.
어깨 위에, 밖에서 들어온 이상하고 낯선 것들을 잔뜩 짊어지고 있잖아!
낙타처럼 무릎을 꿇고 무거운 짐을 잔뜩 싣도록 내버려 두었던 거잖아!]
55. 중령의 영 중에...
2011.5.7....
[새세꿈]_다시한번 읽고 싶은 책~!!!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신경숙) (0) | 2013.06.30 |
---|---|
마이너리그(은희경) (0) | 2013.04.08 |
'성공의 기회를 발견한 사람들' 아웃라이어 (말콤 글래드웰) (0) | 2013.03.17 |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장하준,정승일,이종태 공저) (1) | 2012.09.16 |
천 번을 흔들려야 어른이 된다.(김난도), Amor Fati, 네 운명을 사랑하라. (2) | 2012.09.15 |